동탄 이야기

동탄2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확정(국토해양부 관련 보도자료)

불바 2009. 9. 1. 16:48

 

 

보 도 자 료

배포 일시

2009. 9. 1(화) / 총 11 매

담당

부서

도시광역교통과

 

신도시개발과

 

담 당 자

도시광역교통과장 장영수, 서기관 박명주

☎ (02)2110-6414, mjpark@mltm.go.kr

 

신도시개발과장 김동호, 서기관 김규철

☎ (02)2110-8311, kmct@mltm.go.kr

보 도 일 시

2009년 9월 2일(수)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동탄2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확정

 

- 동탄에서 서울까지 광역철도 건설 지원

 

- ‘15년까지, 제2외곽순환(동탄-용인)제2경부고속도로 건설

 

- 수원․용인․오산 방면으로의 신교통수단(바이모달 트램 or 경전철) 2개 노선 건설

 

□ 국토해양부(장관 : 정종환)는 9월 2일 「제64회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 국토해양부장관) 심의를 거쳐 3조 4천억원이 소요되는 화성 동탄2 신도시에 대한 광역교통개선대책을 최종 확정하였다」고 밝혔다.

 

ㅇ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주요 내용으로는 서울 주변지역으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주요 광역교통망 구축을 위해 서울까지 연결하는 광역철도* 건설(국가철도망계획 등에 반영 후 시행)지원할 계획이며, 2015년까지 제2외곽순환(동탄-용인) 제2경부고속도로를 건설하며,

 

* 현재 광역철도는 정부차원의 검증용역(‘09.6~11)중이며, 타당성이 인정되어 사업 추진시에는 사업시행자가 사업비 일부(8,000억원) 부담

 

ㅇ 경부고속도로에는 남부지방으로의 원활한 진․출입을 위하여 동탄에서 남쪽 약 6㎞ 지점에 남사IC를 신설하고, 연계도로인 국지도 23호선(10.9㎞, 3,961억원)을 건설하며,

서울로의 원활한 접근을 위해 동탄에서 직접 제2외곽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동탄 IC를 신설한다.

 

- 또한, 경부고속도로를 보완하는 차원에서 용인-서울고속도로(‘09.7월 개통)와 연계한 지방도 317호선(동탄-평택)에 3,132억원을 투입, 4→6차로 확장한다.

 

- 이에 따라, 평택 소사벌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에서 4~6차로로 확장하기로 한 지방도 317호선 구간과 연계하여 평택-동탄-수원-서울로 연결되는 6차로 이상의 남북축 고속화도로망이 구축된다.

 

수원․용인․오산 방면의 광역교통망 구축을 위해서 광교-동탄-오산과 병점-동탄간을 연결하는 2곳에 바이모달 트램 등 신교통수단을 건설하고, 국지도 23호선 신설(10.9㎞, 3,961억원), 국지도 84호선 신설 및 확장(6.6㎞, 2,547억원), 지방도 317호선 신설(2.9㎞, 1,321억원) 등 총 9개 노선 건설에 1조 5,622억원을 투입한다.

 

아울러, 저탄소 녹색성장을 실현하기 위하여 동탄2 신도시에서는 철도, 버스, 신교통수단 등 다양한 대중교통수단 환승이 가능하도록 최첨단 복합환승센터를 건설하며, 자전거 일주도로망 건설 등을 통해 자전거의 교통수단 분담률을 선진국 수준인 20% 수준으로 높이는 등 친환경적인 녹색교통 정책을 구현하여 대중교통 중심의 신도시로 개발할 계획이다.

 

화성 동탄2 신도시(사업시행자 : 한국토지공사, 경기도 시공사) 부지면적 23,972천㎡에 총 세대수 11만 1천 세대, 수용인구 27만 8천명을 수용할 계획으로 총사업비 16조 7,571억원을 투입․조성하여 2010년 하반기 주택을 첫 분양하고, 2013년부터는 주민 입주가 가능하게 된다.

 

동탄2 신도시는 전체 면적의 약 50%(11.6㎢)6개 특화구역*으로 묶어 특화 개발함으로써 중․저밀도(인구밀도 116인/ha)로 개발하여 쾌적하고 자족성이 높으면서도 국가경제의 성장동력 거점이 되는 수도권 비즈니스 중핵 신도시로 조성할 계획이다.

 

* 특화구역 : 광역비즈니스콤플렉스, 동탄테크노밸리, 문화디자인밸리, 워터프론트콤플렉스, 커뮤니티 시범단지, 신주거문화타운

 

* 토지이용계획 : 주택용지(30.0%), 상업업무용지(5.5%). 지원시설용지(6.1%), 공원녹지(32.6%), 공공시설용지(25.8%)

 

또한, 동탄1 신도시와의 통합 시너지효과를 높이기 위해 1․2지구 중앙에 광역중앙공원을 조성하고, 1․2지구간 순환도로 건설 등을 추진한다,

 

ㅇ 아울러,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해 대중교통중심의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는 등 도시 구조 전체를 저탄소 에너지절약형으로 계획하였다.

 

국토해양부는 “동탄2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인 광역급행철도, 제2경부고속도로, 신교통수단 등의 광역교통시설이 완공되면 동탄에서 서울까지 ‘철도로 20분, 고속도로로 30분’ 이내 접근이 가능하여 입주민들의 교통편의를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밝혔다.

 

 

 

동탄2 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

 

□ 광역교통개선대책 도면

 

 

 

□ 도로시설 부문

번호

노 선 명

구 간

연장

(km)

차로수

사업비

(억원)

시행시기

(년)

시행주체

(재원분담주체)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동탄JCT~용인

18.2

6

1,050

(630)

2015

민간투자

(용지비 부담)

제2경부고속도로

용인~서하남

27.7

6

5,376

(1,610)

2015

한국도로공사

(용지비 부담)

국지도23호선 신설

중리~봉명

10.9

4

(3,961)

2015

사업시행자

경부고속도로 연결도로

봉명~남사IC

2.7

4

(1,140)

2015

사업시행자

국지도84호선 신설 및 확장

동탄2지구계~국도45호선

6.6

4~6

(2,547)

2015

사업시행자

국지도82호선 확장

장지IC~국도45호선

8.4

4

2,832

2015

경기도

사업지 남서측~영덕/오산간 연결도로

사업지 남서측~ 영덕/오산도로

0.7

6

370

(340)

2015

사업시행자

(동탄2/동탄산단)

지방도317호선 신설

사업지 남서측~ 국지도82호선

2.9

6

1,321

(1,161)

2015

사업시행자

(동탄2/동탄산단)

사업지 북측~지방도318호선 연결도로

사업지 북측~ 지방도318호선

0.3

6

(113)

2015

사업시행자

사업지 남서측지방도317호선 연결도로

사업지남서측~

지방도317호선

0.1

6

(199)

2015

사업시행자

영덕~오산간 고속화도로 연속화 방안

동탄2내부~운암사거리

6.0

-

(1,608)

2015

사업시행자

지방도317호선 확장 및

연속화 방안

운암사거리~평택 진위

3.7

4→6

(1,524)

2015

사업시행자

-

88.2

-

22,041

(14,833)

-

-

* 주 1) 시행주체(재원분담주체)가 사업시행자인 노선은 동탄(2) 신도시 택지개발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 공사‧경기도시공사임

2) 사업비 중 ( )은 사업시행자 부담금액임

3) 개선대책 󰂛의 경우 민간투자 등 계획추진으로 인해 노선 및 차로수 결정시 조정‧반영

4) 개선대책 󰂛, 󰇵에 제시된 사업비는 용지비만 산정된 금액임

5) 국지도82호선의 경우 국토해양부의『국지도 건설 5개년 계획』에 우선 반영하여 추진하되, 사업 조기추진을 위해 주변 개발사업과 연계하여 시행

 

 

□ 접속시설 부문

지점

접속시설명

교 차 노 선 명

사업비

(억원)

시행시기

시행주체

(재원분담주체)

주도로

부도로

경부고속도로 남사IC 신설

경부고속도로

지방도310호선

(368)

2015년

한국도로공사

(사업시행자)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동탄IC 신설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국지도84호선

(625)

2015년

민간투자

(사업시행자)

국도45호선 접속부 입체화

국도45호선

국지도82호선

100

2015년

경기도

국지도23호선 중리IC 개선

국지도23호선

사업지 내부도로

(258)

2015년

사업시행자

국지도23호선 신리IC 개선

국지도23호선

사업지 내부도로

(258)

2015년

사업시행자

국지도23호선 장지IC 개설

국지도23호선

국지도82호선

(396)

2015년

사업시행자

-

2,005

(1,905)

-

-

* 주) 사업비 중 ( )은 사업시행자 부담금액임

 

□ 철도시설 부문

번호

사 업 명

구 간

연장

(km)

단복선

사업비

(억원)

시행시기

(년)

시행주체

(재원분담주체)

-

광역급행철도

서울 강남지역~동탄2

국가철도망 계획 등 정부 상위계획 반영 후 시행

* 주) 정부차원의 검증용역을 통해 광역급행철도사업(서울 강남지역~동탄2)을 추진하는 경우 사업시행자가 사업비 중 8천억원을 분담하고, 동탄역사는 별도로 건설 제공

 

□ 신교통시설 부문

번호

사 업 명

구 간

연장

(km)

단복선

사업비

(억원)

시행시기

(년)

시행주체

(재원분담주체)

-

신교통수단

광교~동탄2~오산

-

-

17,700

(9,200)

2015

경기도/민간투자

(사업시행자/민자/경기도)

-

병점~동탄2

-

-

2015

* 주 1) 시행주체가 타당성 및 기본계획 조사용역(’09.9~’10.9)을 통하여 국토해양부, 사업시행자 등과 협의하여 세부 노선 및 시스템을 결정하되, 사업비 부족분 발생시 경기도에서 부담

2) 신교통수단은 전용노선으로 계획하여 시행

3) 사업비 중 ( )은 사업시행자 부담금액임

 

□ 환승시설 부문

구분

사 업 명

규 모(㎡)

사업비(억원)

시행시기

시행주체

(재원분담주체)

광역환승센터

(동탄역사)

-

2,480

2015년

별도사업 시행

 

□ 버스전용차로 부문

구분

구 간

연장(km)

사업비(억원)

시행시기

시행주체

(재원분담주체)

사업지북측~지방도318호선 연결도로

0.30

10

2015년

사업시행자

 

□ 공영차고지 부문

구 분

차고지 면적(㎡)

사업비(억원)

시행주체

비 고

버스공영차고지

14,915

-

화성시

•사업지내 버스차고지를 두어 버스전용차로 서비스 제고

 

 

첨부파일 0902(조간)_동탄2신도시_광역교통_개선대책(도.hwp

 

 

 

 

사업개요 및 추진 현황

 

❍ 사업개요

위 치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일원

면 적

23,972천㎡

인 구

27.8만인(116인/ha)

주 택

111천호

사업기간

2008. 7∼2015.12

시행자

한국토지공사, 경기도시공사

 

 

❍ 추진경위

 

- ’07. 6. 1 화성동탄(2)지구 신도시 개발 발표(국토부)

- ’07.12.20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 ’08. 5.19 지구지정 변경 및 개발계획(안) 승인신청

- ’08. 7.11 지구지정 변경 및 개발계획 승인

- ’09. 4.20 개발계획 변경 승인 신청

- ’09. 8.28 개발계획 변경 승인

 

향후계획

 

- ’09.12 실시계획 승인 (예정)

- ’15.12 사업 준공 (예정)

 

 

 

 

토지이용계획도

 

 

 

토지이용계획

 

구분

변경

비고

면적(㎡)

비율(%)

 

총계

23,971,809

100.0

 

주택

건설

용지

소계

7,198,416

30.0

 

단독주택

1,060,876

4.4

일반 : 블록 = 92% : 8%

공동주택

6,020,248

25.1

 

 

연립주택

512,918

2.1

 

아파트

5,507,330

23.0

분양 : 임대 = 68.5% : 31.5%

근린생활시설

117,292

0.5

 

상업

업무

용지

소계

1,324,508

5.5

 

 

업무복합용지

288,113

1.2

 

문화복합용지

149,323

0.6

5개소

상업시설용지

238,265

1.0

 

주상복합용지

455,852

1.9

 

유통업무시설용지

26,214

0.1

1개소

업무시설용지

128,372

0.5

 

복합환승센터

38,369

0.2

1개소

지원

시설

용지

소계

1,464,127

6.1

존치시설 포함

 

산업시설용지

1,035,137

4.3

 

벤처업무연구용지

428,990

1.8

 

공원

녹지

소계

7,813,956

32.6

 

 

공원

3,897,162

16.3

근린공원48, 소공원22, 어린이공원5, 체육공원1

(근린공원내 저류지 55,510㎡ 포함 ,기정 수변공원 4개소 폐지)

녹지

2,451,020

10.3

완충28, 경관22, 연결17

공공공지

280,516

1.2

29개소

하천

935,280

3.9

10개소

저수지

246,528

1.0

3개소

광장

3,450

0.0

3개소

공공

시설

용지

소계

6,170,802

25.8

 

 

공공용지

42,054

0.2

소방서1, 119안전센터3, 경찰지구대3, 공공업무5, 우체분국3 

공공청사

62,554

0.3

9개소(동주민센터 8개소)

학교

648,466

2.7

학교 53개소(초28, 중14, 고11)

유치원

10,601

0.0

6개소

커뮤니티센터

40,932

0.2

3개소

문화시설

3,313

0.0

1개소

체육시설

11,224

0.0

1개소

의료시설

90,981

0.4

2개소

종교시설

52,537

0.2

21개소

전기공급시설

31,021

0.1

5개소

수도용지

43,662

0.2

광역상수1, 가압장1, 배수지2

하수처리시설

1,135

0.0

오수펌프장 3개소

위험물처리시설

21,958

0.1

11개소

공영차고지

14,915

0.1

1개소

주차장

138,758

0.6

50개소

교통광장

206,228

0.9

5개소

도로

3,608,127

15.1

251개 노선, 132.8km

보행자도로

109,263

0.5

90개 노선 9.2km

시험림

35,910

0.1

1개소(산림청 임업시험림)

저류지

10,174

0.0

6개소(영구저류지 1개소 등)

유보지

986,989

4.1

26개소(공공업무, 문화시설, 공급처리시설 등)

 

 

 

 

특화구역(안)

 

□ 6개 특화구역 개발방향

 

구 분

면적

(천㎡)

개발방향

주요도입시설

1

광역비즈니스

콤플렉스

1,491

최적의 광역교통/대중교통 인프라 확충

∙고밀의 TOD 입체복합개발

(도보권 상근/이용/거주인구 최대확보)

∙복합환승센터

∙글로벌기업 본/지사

∙컨벤션센터/호텔

∙센트럴파크

2

동탄

테크노밸리

1,997

∙지역기업, 지구내 외투기업 등과

연계한 국가 성장동력산업 육성

기업활동을 위한 최적의 인프라 조성

첨단산업/연구소/벤처기업

∙복합물류유통단지

∙외국인주거단지

3

문화

디자인밸리

2,003

∙문화컨텐츠/디자인산업의 창조적

생산공간과 교류공간 확보

하천 수공간과 연계한 문화밸트 조성

문화컨텐츠/디자인관련

기업/연구소/전문교육시설

∙아트센터/예술인마을

복합행정문화타운

4

워터프론트

콤플렉스

1,642

레저/문화/쇼핑이 호수공원과 복합된

고품격 생활문화공간 조성

∙스포츠매니아를 위한 전문시설 확보

∙종합스포츠센터

∙전문아울렛몰

∙호수공원/문화시설

∙수상레저시설

5

커뮤니티

시범단지

1,068

∙살기 좋은/보기 좋은/어울리기 좋은

고밀아파트단지와 정주모델 창출

∙커뮤니티활동이 극대화될 수 있는

개방형 생활가로 도입

연도형 특화거리

∙복합커뮤니티센터

∙열린학교/특성화학교 /학원가

6

신주거

문화타운

3,355

탄소중립 등 지속가능도시를 선도하는

미래형 정주모델 창출

한국적 자연과 어우러진 미래형 전원 주거단지 조성

∙탄소중립 시범단지

중저밀의 한국형아파트

한옥마을(전통형/현대형)

∙전원생활체험공원

 

 

□ 특화구역(안) 설정